교육과정
생명시스템과학과는 전공 트랙제 및 바이오 마이스터교육과정 등의 운영을 통해전공 역량과 현장 적응력을 겸비한 바이오산업·지역사회 연계 실무형 창의적 인재를 양성한다.
진로 로드맵

트랙별 주요 교과목
에코 바이오 | 생명과학 분야에서 가장 기본적인 생명체의 다양성과 이들 생물종과 환경 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지속가능한 삶의 터전이라는 측면에서 환경생태계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써 분류생태, 환경 분야의 전문연구인력을 육성하는데 필수적인 교과목 군.
동물분류학및실험, 동물형태학및실험, 식물형태학및실험, 식물분류학및실험, 원핵미생물학, 분자생물학및실험, 분자진단검출실무, 미생물분자계통학및실험, 생물종동정진단실무, 환경미생물학및실험, 생태학및실험, 곤충학, 생물다양성환경모니터링실무, 환경오염분석 |
의약 바이오 | 생명체의 개체 또는 세포 수준 이해를 바탕으로 BT 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임으로써 생리활성물질과 의약활성물질의 탐색 및 개발과 관련된 전문 인력을 육성하는데 필수적인 교과목 군.
미생물유전학, 인체생리학, 식물형태학및실험, 분자생물학및실험, 유전공학및실험, 단백질생명공학 및실험, 분자진단및검출실무, 동물발생학및실험, 식물생리학및실험, 신경과학및실험, 단백질분리정 제실무, 생물의약개론, 면역학, 세포신호전달론, 동물세포배양공학실무, 암생물학 |
산업 바이오 | 생명현상, 생리활성물질, 의약활성물질 등에 대한 지식을 응용하여 산업화하는 방법과 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써 21세기의 핵심 산업인 첨단 생명산업의 전문연구인력을 육성하는데 필수적인 교과목 군.
식품감염미생물학및실험, 동물형태학및실험, 분자생물학및실험, 산업미생물학, 분자진단및검출실무, 바이오의약공정, 분석생명공학및실험, 효소학, 미생물대사학및실험, 바이오품질분석실무, 동물생리 학및실험, 생명나노공학, 바이오품질관리보증실무, 바이러스학, 생명과학기술경영 |
교육과정 편성표
생명시스템과학과는 전공 트랙제 및 바이오 마이스터 교육과정 등의 운영을 통해 전공 역량과 현장 적응력을 겸비한 바이오산업·지역사회 연계 실무형 창의적 인재를 양성한다.
필요학점 이후 캡스톤디자인(필수) 수행을 통해 수학한 전공지식을 종합한다.
졸업인증제(필수)를 통해 진로 및 진학 역량을 제고한다.
필수항목
|
선택활동
|
인증평가항목 | 필수/선택 | 인증 점수 | 비고 |
외국어 능력 | 필수 | TOEIC 단계별 최저 200점, 최고 450점 |
750 이상 (450점) 700-749 (400점) 650-699 (350점) 600-649 (300점) 550-599 (250점) 500-549 (200점) |
기타 외국어 시험성적은 별도 기준표 참조. | |||
정보화자격증 | 필수 | 건당100점 최대 200점 |
워드프로세서 1급, 정보처리기사1급, 정보처리산업기사2급, 컴퓨터 활용능력 2급, MOS master 등 최소 2개 취득 |
취업훈련 참가 | 필수 | 1회 참가시 50점, 최대 200점 | 취업지원팀 프로그램 2개 이상 참가 |
취업 | 선택 | 취업 500점 |
|
상담실적 | 선택 | 최대 100점 | 1회당 10점 |
글쓰기교육 참여실적 및 문화마일리지 |
선택 | 최대 200점 |
|
학과행사 참여실적 |
선택 | 1회 참가시 10점, 최대 150점 | 세미나, 현장견학, 취업박람회, 학과 임원활동(학회장 20점), MT, 체육대회, 학과주최 행사 |
봉사활동 | 선택 | 최고 100점 (72시간 80점) |
72시간 초과 10시간당 10점 |
현장실습 | 선택 | 100점, 1회 50점 | 1회 기준: 20일 이상 실습 |
연구논문 작성 | 선택 | 100점 | capstone design 포함 |
자격증 및 국가고시 | 선택 | 건당 100점 | 중등학교정교사2급 자격증 및 각종 정부인증 자격증 (운전면허증 포함) |
해외연수/ 인턴쉽 | 선택 | 참조 |
|
졸업인증 최소 기준 점수 : 900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