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 후 진로 및 동향

첫째, 학부 졸업 후 (1) 각종 국공립 연구기관(국립수목원이나 보건환경연구원, 중앙과학관 등), (2) 의약, 식품, 환경, 화장품, 발효 관련 회사 및 특허 관련 바이오 산업체, 그리고 (3) 임상 및 전임상 시험평가기관 등에 진출할 수 있다.
둘째, 국내외 대학원(생명공학대학원이나 의학전문대학원 등) 및 국·공립 연구소 등으로 활발히 진학하여 석·박사 학위 취득 후 대학교수나 연구기관의 연구원으로 활동할 수 있다.
셋째, 생명시스템 분야의 국가 자격인 선행기술조사원, 환경기사, 분류기사, 생물공학 기사 등의 전문자격증을 취득하여 전문직으로 활동하거나 기업에 취업하여 전문가로서 대우받을 수 있다. 또한, 교직을 이수한 학생들은 임용고시 자격이 주어져 교육 분야로 진출할 수도 있다.
취업 역량 강화
프로그램 |
전공 지식 | 기본 소양 | 비 교과 프로그램 | 자격증 취득 |
에코 바이오
의약 바이오 산업 바이오 |
바이오 일반
화학/신소재 |
어학, 특허 분석, 정보처리 등 | 생명선행기술조사원
생물공학기사 분류기사 환경기사 |
|
▼ | ▼ | ▼ | ▼ | ▼ |
지식 확보 | 분야별 전문지식 | 유관 분야 소양 지식 | 직무 수행 Skill 향상 | Professional 의식 |
▼ | ▼ | ▼ | ▼ | ▼ |
캡스톤 디자인 전공 프로젝트 |
Skill 향상 | |||
▼ | ▼ | ▼ | ▼ | ▼ |
현장실습 수준 | (전문지식 + Skill + 자질) 종합적인 역량 겸비한 인재 양성 |
|||
▼ | ||||
국공립 시험 및 연구기관, 바이오 기업, 특허 관련 기관 취업 |

- 생명시스템과학과 2022년 취업률은 공시취업률 7%, 2차 유지취업률 91.3%로 높음
- 특히 공시 취업 후 취업 유지율도 높게 나타나 취업 후 안정적인 직장생활을 하는 것으로 나타남
- 2025년까지 바이오산업 인재 4만7000명 양성…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34801 - 한국, ‘WHO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로 선정
https://www.korea.kr/special/policyFocusView.do?newsId=148899294&pkgId=49500742 - 산업통상자원부, ’21년 인력양성 사업에 2,442억원 투자
https://www.bizinfo.go.kr/web/lay1/bbs/S1T157C158/AU/112/view.do?article_seq=60013 - “바이오인재 잡아라”…제약업계, 전문인력 양성‧유치 경쟁 ‘치열’
https://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45189 - 바이오산업 인재양성 추진방안
https://hrstpolicy.re.kr/kistep/kr/policy/policyPlanKorDetail.html?board_seq=42806&board_class=BOARD01&rootId=2003000&menuId=2003102 - 식약처, K-바이오 전문인력 양성 팔 걷었다
https://m.rapportian.com/news/articleView.html?idxno=144656